
Cover image by らっしぃ
카메라 업계는 오랜 기간 동안 DSLR 카메라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에 등장한 미러리스 카메라는 그 가볍고 컴팩트한 디자인과 진화된 기능으로 시장을 빠르게 장악했습니다.
DSLR이 가진 광학 뷰파인더의 장점과 미러리스의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카메라의 진화는 카메라 애호가와 프로 사진가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며, 현재도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DSLR에서 미러리스로의 전환기에 나타난 업계의 반응과 두 카메라의 장점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여, 어느 것이 당신의 필요에 가장 적합한지 알아봅니다.
DSLR에서 미러리스로의 전환
2008년, 파나소닉이 'LUMIX DMC-G1'을 출시하며 세계 최초의 미러리스 카메라로 시장에 등장했습니다. 이 새로운 카메라 시스템은 미러를 제거하여 바디가 경량화되고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해졌습니다. 초기의 미러리스 카메라는 컴팩트함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AF 속도나 연사 성능에서 DSLR에 뒤처지는 부분이 있었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소니의 'NEX 시리즈'나 풀프레임 미러리스 'α7 시리즈'의 등장으로 미러리스는 급속히 그 지위를 확립했습니다.
처음에는 DSLR에 익숙한 프로와 애호가들 사이에서 회의적인 목소리도 있었지만, 기술의 진화와 함께 점차 그 성능과 편리성이 평가받게 되었습니다.

Image by yu.foto__
미러리스 카메라의 장점과 단점
컴팩트한 설계와 최신 기술의 도입
미러리스 카메라의 최대 장점은 경량으로 컴팩트한 설계입니다. 이는 여행이나 일상적인 스냅 촬영을 즐기는 사용자에게 매우 큰 매력입니다. 특히, 소니의 'α7 시리즈'와 같은 풀프레임 모델은 DSLR과 비슷한 고화질을 제공하면서도 바디가 한층 작아져 휴대가 용이합니다.
또한, 최신 기술의 도입이 빠르고 4K 동영상 촬영이나 고속 연사 등 다기능으로 유연한 촬영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그 반면, 배터리 수명이 짧아 장시간 촬영에는 예비 배터리가 필수라는 점과 전자 뷰파인더로 인한 시각적 지연이 일부 프로 사용자에게 불만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실용성의 진화와 프로 유스에의 적응
미러리스 카메라는 초기 단계에서는 AF 속도나 연사 성능이 DSLR에 뒤처졌지만, 2010년대 후반에는 이러한 과제가 극복되어 프로 유스에도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소니의 'α9'은 블랙아웃 없이 고속 연사를 실현하여 동체 촬영에서도 DSLR에 필적하는 성능을 자랑합니다. 또한, 캐논이나 올림푸스도 방진방적 성능과 5축 손떨림 보정을 갖춘 고기능 모델을 전개하여 프로 사진가에게도 신뢰할 수 있는 선택지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미러리스는 DSLR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더 나은 진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Image by 22kengin22
DSLR 카메라의 견고함과 광학 뷰파인더의 매력
견고함과 배터리 수명의 우위
DSLR 카메라의 강점은 그 견고한 바디와 긴 배터리 수명에 있습니다. 특히 프로 사진가가 중요시하는 것은 가혹한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내구성입니다. Nikon이나 Canon의 플래그십 모델은 사막이나 극한지에서의 촬영에도 견딜 수 있는 설계가 되어 있으며, 장시간 촬영에서도 배터리가 지속되는 점은 순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광학 뷰파인더를 통해 피사체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시각적 지연이 없고, 즉각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장면의 촬영에도 적합합니다.
광학 뷰파인더에 의한 실시간 시각 경험
DSLR 카메라의 광학 뷰파인더는 촬영 렌즈를 통해 실제 피사체를 직접 볼 수 있기 때문에 미러리스 카메라의 전자 뷰파인더와는 달리 실시간으로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각적 지연이 없는 점은 특히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하는 스포츠나 야생 동물 촬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학 뷰파인더는 배터리를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촬영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도 매력입니다.
이처럼, DSLR 카메라와 미러리스 카메라는 각각의 강점이 있으며, 촬영 스타일이나 목적에 따라 최적의 카메라를 선택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현재의 미러리스 카메라의 진화는 DSLR의 전통적인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두 카메라의 진화가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