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디어 기존의 사진 촬영 개념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혁신이 일어났습니다. 네덜란드 디자이너 Bjørn Karmann 씨가 개발한 혁신적인 카메라 'Paragraphica'를 소개합니다.
빛을 포착하지 않고 정보를 찍는 카메라
Paragraphica는 빛을 모으는 렌즈가 없는 카메라입니다. 대신 주변의 위치 데이터와 날씨, 시간 등의 정보를 모아, 이를 바탕으로 의 AI가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즉, 현실의 풍경을 직접 포착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와 AI의 해석을 통해 그 장소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 Bjørn Karmann
Paragraphica의 뒷면 모니터에는 텍스트가 표시되며, 셔터를 누르면 이 프롬프트(지시문)를 기반으로 AI에 의해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사진 개념의 패러다임 시프트
'Paragraphica'의 혁신적인 특징은 사진이 정보의 출력 장치가 아닌 입력 장치로 변했다는 점입니다. 기존의 카메라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포착하고 기록하기 위한 도구였지만, 'Paragraphica'는 그 장소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AI가 해석과 재구성을 통해 무에서 유로, 0에서 1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이 과정은 사진의 본질적인 목적을 다시 묻고, 카메라의 메커니즘의 발전형이 기록에서 창조로의 전환을 시사합니다.

©︎ Bjørn Karmann
(왼쪽)은 실제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중앙)은 촬영 시의 프롬프트, (오른쪽)이 Paragraphica에 의해 생성된 '사진'
작동 방식으로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촬영 장소의 위치 정보, 시간, 날씨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카메라에 의해 프롬프트(지시문)로 변환되고, 이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생성 AI가 이미지를 창조합니다.
촬영 시 신체성의 제한을 둔 감각
디자이너의 감각이 드러나는 포인트로, AI에 의한 이미지 생성이 '신체성'의 제한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AI 이미지 생성 도구는 광범위한 데이터에서 임의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지만, 'Paragraphica'에서 생성되는 이미지는 카메라가 촬영한 특정 장소의 데이터에 기반합니다. 즉, Paragraphica는 장소의 재현에 있어, 더 높은 정확도의 정보에 기반하여 그 장소의 특성과 분위기를 반영한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또한, 이 작은 고집이 촬영 지점의 독자성과 촬영자의 경험이 융합된, 더 깊은 의미를 가진 사진 경험을 제공하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 Bjørn Karmann
비주얼 디자인과 다이내믹 데이터 Noodl의 스크린샷 위치 정보에 기반한 프롬프트와 이미지 자체를 생성하기 위해, 카메라와 여러 API 간의 통신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AI가 만들어내는 이미지와 인간 인식
AI가 세계를 어떻게 '보는지', 엄밀히 말하면 '만들어내는지'. 그리고 AI가 만들어내는 사진과 인간의 인식의 차이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생각해보면, 사진의 개념은 근본적으로 변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Paragraphica'는 비인간적인 지각을 모방하며,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이미지는 기존의 사진이 제공하는 현실의 시각적 표현과 다릅니다. 동시에, 모방된 이미지에 우리가 현실감을 느끼게 된다면, 앞으로 사진이 현실을 비추는 거울이라고 단언하기는 점점 어려워질 것입니다. AI의 시점을 통해 세계를 경험하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우리의 인식에도 영향을 미친다면, 사진이 단순한 기록 매체가 아닌, 해석과 표현의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열릴 것입니다.
다음 콘텐츠의 사례와 같이, 이미 AI가 관여한 사진(사진 같은 이미지)에 대한 제도 설계에 관해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Paragraphica'로 촬영된 사진이 사진의 개념을 갱신하는 것인지, 아니면 사진도 생성 이미지도 아닌 모호한 경계에서 그 모습을 사라지게 할 것인지, 앞으로의 기술 발전에 주목하고 싶습니다.